MY MENU

게시판

제목

위기의 축산업.. 이제 유기축산만이 살길..-광주일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1.01.20
첨부파일0
추천수
0
조회수
1445
내용

광주일보 본문

: http://www.kwangju.co.kr/read.php?aid=1295449200420752004

전남을 뒤덮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진 판정을 받은 농가 중 5곳이 친환경 축산 인증을 받은 농가인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에 창궐하고 있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가축전염병의 한 원인이 과도한 밀집 사육과 비위생적 환경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에서 친환경 축산 인증 제도를 한층 강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9일 전남도에 따르면 최근 영암·나주·화순·장흥·여수 등에서 고병원성 AI로 확진 판정을 받은 19개 농가 중 5개 농가가 친환경농업육성법에 따라 정부가 품질을 보증하는 무항생제 축산물 인증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고병원성 AI 발생 농가에서 3㎞ 이내에 위치, 사육중인 오리를 전량 살처분·매몰 처분했던 농가 2곳도 고병원성으로 변이되는 ‘H5’형 AI가 확인된 만큼 이들 농장까지 포함하면 친환경 축산물 인증을 받은 7개 농가에서 AI가 발생한 것이다. 고병원성 AI가 전염력이 강한데다, 이들 농가 중 일부가 최초 AI 발생농가와 역학 관계에 있는 농가라고는 하지만 친환경 축산에 대한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친환경축산인증은 무항생제축산물 인증과 유기축산으로 나뉘는데 이번에 고병원성AI 확진을 받은 농장들은 모두 무항생제축산물인증 농가들이다.

무항생제 축산물 인증은 지난 2007년 소비자의 안전 축산물의 선호에 부응하고 축산물 수입개방에 적극 대응하기 위하여 친환경농업육성법이 개정되면서 도입된 국내에만 있는 인증제도로, ‘무항생제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항생제를 일체 먹이지 말아야 하고 전문 인증기관의 엄격한 선별 검사를 거쳐야 한다.

하지만 무항생제 축산은 ‘유기 축산’과는 다르게 축사 조건과 동물 복지 측면 등에서 상당히 느슨한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게 양계업자들의 견해다.

예컨대 산란용 오리의 경우 가축사육시설 소요면적이 일반 축사기준(마리당 0.333㎡)보다 훨씬 넓은 0.55㎡에 달하고 한우·젖소 등은 축사 전체면적의 2배에 달하는 방목지나 운동장을 확보해야 유기 축산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유기 축산의 경우 사료도 유기사료만을 줘야 하는 만큼 일반축산에 비해 3배가량 경영비가 많이 소요된다. 이 때문인지 유기 축산인증을 받은 담양·나주의 닭 농가와 고흥의 젖소 농가 등 3곳에서는 1건의 의심상황도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무항생제 축산 인증의 경우 사육 기준이 ‘유기축산’과 달리, 축산법에 따른 일반 사육 기준만 적용하면 인증을 받을 수 있어 밀집 사육 방식으로도 인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전남도가 ‘녹색축산 5개년계획’을 수립하고 축사 시설 개선에 공을 들여 전국 1위(2028 농가)의 친환경 축산 인증 농가를 보유하고 있다고 하지만 농가 3곳을 제외하면 모든 농가가 이같은 무항생제 축산 인증을 받은 농가인 만큼 안심할 처지가 아닌 셈이다.

따라서 전남도가 친환경 녹색 축산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항생제 축산 인증에 만족하는 게 아닌, 유기 축산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힘을 쏟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까다로운 유기 축산 인증이 확대될 수 있도록 유기 농산물 생산 기반 확충 및 농가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이렇게 생산된 축산물이 시장에서 제값을 받을 수 있도록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분위기 조성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도 무항생제 축산 인증 기준을 강화하거나 유기축산으로의 전환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 마련 및 분위기 조성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남도 관계자는 “무항생제 축산은 유기 축산을 장려하기 위한 중간 단계”라며 “유기 축산을 확대하기 위한 주변 여건 개선에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